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JAVA 입문 02] - 기본형 타입, 변수

JAVA

by 코딩순이 2021. 2. 18. 19:46

본문

안녕하세요.

 

순코딩의 코딩순이입니다.

 

오늘은 자바의 데이터 타입과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▶ 기본형 타입

자바의 기본형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- 정수 : byte , short, int, long

- 실수 : float, double

- 문자 : char

- 논리 : boolean

 

▶ 기본형 타입의 변수

다음은 기본형 타입의 변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그릇을 만드는 것입니다.

int x = 0;

위 코드의 의미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x라는 이름을 가진 그릇을 만든 것입니다.

 

변수를 다음과 같이 선언할 수 있으며, 이를 "초기화" 라고 한다.

int abc = 30; // 일반적으로 선언과 초기화를 한번에 한다.
long l = 40L; // 접미사 L을 붙여야 long타입이 된다.
float f = 5.5f; // 접미사 f를 붙여야 float타입이 된다.
char c = '한'; // 따옴표 안에 반드시 한 글자를 넣어야 된다.
boolean b = true; // true, false

변수를 초기화한 후, 다음과 같이 새로운 값을 저장할 수 있다.

새로운 값을 저장할 시에는 타입을 붙이지 않고, 변수의 이름만 적어 새로운 값을 저장해준다.

abc = 40;
l = 400L;
f = 10.5f;
c = '둘';
b = false;

▶ 참조형 타입의 변수

다음은 기본형 타입의 변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String str = "문자 여러개..";

클래스는 참조형 타입의 데이터이며,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 밖에 다른 공간에 값들을 저장하고, 변수에는 그 값을 찾을 수 있는 주소를 저장한다.

 

문자열과 다른 타입의 데이터가 결합되면 문자열의 결과를 얻는다.

System.out.println(str + 50);      // 문자 여러개..50
System.out.println(10 + 20 + str); // 30문자 여러개..
System.out.println(str + 10 + 20); // 문자 여러개..1020

▶ 변수 명명규칙

- 영문자 대소문자, 한글, 숫자, 특수문자('_', '$')를 사용할 수 있다.

-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
-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
- 낙타식 표기법을 사용한다. Ex) mySampleVariable

- 클래스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한다. Ex) MySampleClass

▶ 형변환

다음은 형변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형변환이란 다른 타입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 값의 타입을 변경해주는 것이며, 형변환(Type Casting)이라고 합니다.

int small = 10;
long big = 10L;

small = (int)big; // 명시적 형변환
big = small;      // 묵시적 형변환

명시적 형변환이란 변수 앞에 (데이터 타입)을 써주어 강제로 형변환을 하는 것을 말한다.

묵시적 형변환이란 표현 범위가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의 형변환하는 것을 말한다.

 

<< 명시적 형변환 - 예제 >>

x = 10;
y = 3.14;

int z = x + (int)y;
System.out.println(z); // 13출력

▶ 상수

다음은 상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- 값을 변경 할 수 없는 그릇을 의미하며, 리터럴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.

- 변수 앞에 final이 붙으면 값을 변경할 수 없으며, 상수는 대문자만을 사용하여 이름을 지어준다.

final int MAX_NUMBER = 10;

 

이번 시간에는 자바의 변수, 상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다음 시간에는 자바의 입력과 출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.

관련글 더보기